♠ 연봉 4500 만원일때 월소득을 계산하면 한달에 375만원꼴이 된다.
♠ 이 375만원에서 국민연금, 건강보험료, 장기요양보험, 소득세, 고용보험 등을 공제하면 월 실수령액이 된다.
♠ 따라서 연봉 4500 월 실수령액 = 375만 - (국민연금 + 건강보험료 + 소득세 + 고용보험 + 장기요양보험 + 소득세 + 지방 소득세)
매월 공제액 총합계 계산
1. 국민연금 월납부액 = 월소득금액 × 4.5% = 375만 × 0.045 = 168,750원
2. 건강보험 납부액 = 월소득 금액 × 3.06% = 375만 × 0.0306 = 114,750원
3. 소득세 = 국세청 근로소득 세액기준표 = 171,560원
4. 고용보험 = 월소득금액 × 0.65% = 375만 × 0.0065 = 24,370원
5. 장기요양보험 = 건강보험 납부액 × 6.55% = 114,750원 × 0.065 = 7,510원
6. 지방소득세 = 소득세 × 10% = 171,560원 × 0.1 = 17,150원
7. 공제액 총합계 = 504,090원
8. 매월 실수령액 = 375만 - 504,090원 = 3,245,910원
9. 연봉 4500 실수령액 = 3,245,910 × 12 = 38,950,920원
♠ 그렇지만 이 세후 연봉 계산은 어디까지나 독신 기준(부양가족수 1명), 비과세액 0원 기준이다.
♠ 비과세액은 회사마다, 직급마다 차이가 있으며, 비과세액에 포함되는 항목은 밥값, 출산수당, 보육수당, 해외 근로 수당, 생산직 야간근로수당 등이다. 비과세액이 10만원이면 2만원, 20만원이면 4만원정도 매월 실수령액이 올라간다.
♠ 부양가족수(본인 포함해서 계산)도 역시 1명씩 늘때마다 월 실수령액이 올라간다. 부양가족이 2명이면 3만원, 3명이면 9만원정도 월수령액이 증가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