▶ 일반적으로 저혈압은 약보다는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식생활 밸런스를 정돈하면 어느 정도 가능하다.
▶ 하지만 심한 경우엔 생활과 식이요법으로는 증상이 나아지질 않으므로 약물을 사용한 치료가 필요하다.
저혈압 기준
▶ 수축기(최고혈압) 100mmHg 이하, 확장기(최저혈압) 60mmHg이하
저혈압 약의 종류
1. 승압제
▶ 심장에 혈액량을 증가시키고 강심제의 작용으로 혈압을 올리는 약물. 부작용은 중추 신경 자극으로 불면증의 가능성, 식욕부진, 구토, 부정맥 등이 있다.
2. 부신 호르몬제
▶ 에디슨 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지만 심장의 혈액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중증 저혈압의 치료에 이용된다. 근화제약에서 나온 메치론정, 경동제약 스폴론정 등이 있다.
3. 코엔자임 Q10
▶ 심장근육 대사 개선제로 만성 저혈압의 개선에 효과적이다. 코엔자임 Q10은 건강식품으로도 유명한데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노화를 예방하고 동맥경화 예방에도 좋다.
4. 미도드린 염산염
▶ 혈관의 교감신경을 자극해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올린다. 명문제약에서 미드론정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다. 보통 1일 4mg을 경구로 복용하며 부작용은 두통, 메스꺼움, 복통 등이 발생할 수 있다.
5. 종합비타민
▶ 저혈압은 영양균형이 편중된 사람에게 많기 때문에 비타민 부족이 많다. 따라서 저혈압의 치료를 위해선 다양한 종류의 비타민 섭취를 위해 종합비타민을 복용하는 것이 좋다.
약없이 저혈압 치료하는 방법
▶ 과로를 피하고 충분한 수면, 규칙적인 생활을 한다. 금연이 필요하고 과도한 음주를 자제.
▶ 본태성 저혈압은 운동부족이 영향을 많이 끼치므로 정기적으로 유산소 운동 위주로 실시한다.
▶ 평소에 수분섭취를 넉넉하게 하는 습관을 기르고 소금을 적게 섭취할 것.
▶ 단백질을 많이 먹고 미네랄, 비타민이 풍부한 야채를 많이 먹을 것. 특히 아연, 철분, 셀레늄, 비타민B1, B2 성분의 섭취가 중요하다.
▶ 식후에 녹차나 커피 등의 카페인이 많은 음료를 먹어주면 교감신경을 자극해 혈액의 순환이 촉진된다.
▶ 방을 너무 뜨겁게 하거나 너무 차갑게 만들지 말고 실외와의 온도차가 크지 않도록 실내 온도 조절에 유의.
▶ 목욕을 할때엔 몸을 어깨까지 담그고 마사지를 실시하면 혈액 순환 개선 효과가 있다.